티스토리 뷰

목차


     

    2025년 월급날 지출 계획 완벽 가이드

    체계적인 예산 관리는 월급 받은 날부터 시작된다

    월급날은 기분 좋은 시작이지만, 계획 없는 소비는 금세 통장을 텅 비게 만듭니다. 2025년 현재, 재테크의 첫걸음은 ‘월급 관리’에서 시작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월급날 지출 계획을 세울 때 반드시 알아야 할 체크포인트와, 실제 실천 가능한 전략을 정리해드립니다. 체계적인 예산 분배부터 비상금 계좌, 자동 저축 전략까지 함께 살펴보세요.


    지출 계획의 출발은 '고정비 확인'부터

     

    고정지출은 매달 반복적으로 나가는 항목으로, 먼저 이 부분을 예산에서 차감한 뒤 나머지 금액으로 생활해야 합니다.

    고정지출 항목 예시
    주거비 월세, 관리비
    공과금 전기, 수도, 통신비
    보험료 건강보험, 실손보험
    정기 구독 OTT, 멤버십 서비스

    50:30:20 법칙으로 예산을 간단하게 나누자

     

    미국의 재무 설계 원칙으로 유명한 50:30:20 법칙은 국내에서도 실천 가능한 예산 관리 전략입니다.

    비율 항목 예산 설명
    50% 필수 지출 월세, 교통비, 식비, 공과금 등
    30% 선택 지출 외식, 여가, 쇼핑 등 라이프스타일
    20% 저축/투자 비상금, 적금, 주식, 연금 등

    자동이체로 저축을 먼저 실행하자

     

    지출을 다 하고 남은 돈을 저축하겠다는 생각은 실패하기 쉽습니다. 월급 입금일 다음 날로 저축 이체 일정을 설정해두면 소비 전에 저축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특히 적금·청약·ETF·퇴직연금 등 목적별로 통장을 나누고 자동이체를 활용하면 효과적인 재정 분리가 가능합니다.


    비상금 계좌는 필수, 최소 100만 원 이상 확보하자

     

    갑작스러운 병원비, 이사비용, 해고 등 예기치 못한 상황에 대비하려면 최소 100만~300만 원 규모의 비상금 계좌는 필수입니다. CMA 통장이나 요구불예금 등 수시 입출금이 가능한 통장으로 따로 마련해두세요.


    가계부 작성과 소비 점검은 주 1회 이상이 적당

     

    한 달 예산을 짰다고 끝이 아닙니다. 매주 또는 매월 소비 흐름을 점검하고, 필요 없는 구독 서비스나 과소비 항목을 체크하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체크 주기 점검 항목
    매주 카드 승인 내역, 외식 비중, 교통비
    매월 정기구독 정리, 저축률 재점검

    체계적 통장 분리로 지출을 ‘보이는 돈’으로 만들자

     

    2025년 재테크 트렌드는 '자산의 시각화'입니다. 돈을 쓰는 용도에 따라 통장을 분리하면 예산 집행이 눈에 보여 관리가 쉬워집니다.

    통장 이름 용도
    생활비 통장 한 달 지출, 카드 연동
    고정비 통장 공과금·월세 자동이체
    저축 통장 목표 저축 또는 투자금 관리
    비상금 통장 CMA/입출금 자유 통장